본문영역

자궁근종이란?
자궁 종양 중 가장 흔한 양성질환으로 일반적으로 “살혹” 또는 “물혹” 으로 불리웁니다.
모든 연령층에서 발병 되는데 주로 30-40세에 발견 되고,
특히 30세 이상의 여성이 30%를 차지하며 최근에는 20-30대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

원인 -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자궁 근육층 내의 세포의 비정상적인 과성장과,
유전적, 체질적, 호르몬적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성경험이나 분만 여부와는 무관합니다.
증상 - 대부분은 무증상으로 약 25% 정도에서 증상 발현되며 가장 흔한 증상은 자궁출혈(생리과다, 부정출혈),
만성 골반통, 빈뇨, 배뇨곤란, 급성 복통, 변비, 장폐색, 불임, 유산 등이 있습니다.

분류 | 내용 |
---|---|
발생빈도 | 가임기 여성의 20%, 중년여성의 40~50% |
원인 | 원인불명, 자궁근육세포의 병적증식 호르몬의 영향과 유전적인 가능성 등이 대두됨 |
증상 | 만성골반통증, 생리통, 생리과다, 부정기 출혈, 자연유산, 불임, 변비, 빈뇨증 |
Type | 유경성(pedunculated type) - 자궁곁에 매달림 근층성(intramural type》 - 자궁벽 위치 내막성(submucosal type) - 자궁속 위치 자궁경부(cervical type) - 자궁아래에 위치 인대성(intraligamentary type) - 자궁지지조직내 |
악성확률 | 0.5% (자궁 육종암) |
진단 | 초음파 검사 |
치료방향 | 혹의 크기, 위치, 성질, 환자의 나이,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. |
적응증 | ① 혹이 큰 경우 (임신 16주 이상 크기) ② 지속적으로 혹이 자라는 경우 ③ 통증, 생리과다가 심한 경우 ④ 만성통증, 부정기 자궁출혈 ⑤ 2차 증상 : 불임, 습관성유산, 빈뇨, 변비 ⑥ 기타 악성가능성 의심 ⑦ 암의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과 적극적 치료를 원할 |
치료방법 | ① 자궁보존치료 (비수술치료- 하이푸시술》 ② 근종용해술 (복강경 or 질식) ③ 근종절제술 (복강경 or 개복) ④ 자궁적출술 (복강경 or 개복) ⑤ 자궁경을 통한 내막 근종제거술 ⑥ 보존적 미레나 삽입술 |
예방법 |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. (규칙적검진이 중요) |

자궁선근증이란?
자궁내막이 자궁벽 안쪽으로 파고 들면서 자라나 자궁벽이 두꺼워진 것으로 자궁 전체가 커져 보입니다.
자궁내막의 분비선과 적혈구가 자궁근층으로 침투해 자궁의 크기가 커진 것입니다.

원인 - 월경 현상이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, 최근에 출산율이 낮아지고 폐경 연령이 늦어지는 것도
이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..
증상 - 빈혈을 동반한 생리과다와 생리통, 장기간 지속되는 만성 골반통, 불임의 원인,
어떤 경우에서는 불규칙적인 출혈, 약 30%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음
특징 - 자궁 내막조직이 자궁근육에 침투한 것이 자궁선근증으로 자궁이 아닌
다른 부위 조직에 증식한 것이 자궁내막증으로 자궁선근증을 대게 30대 이후에 증상을 보이며
자궁 내막증은 20-30대로 보다 젊은층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.
분류 | 내용 |
---|---|
발생빈도 | 가임기 여성의 13.4% |
원인 | 내막세포 근육층내 피급 |
증상 | 만성골반통증, 생리통, 생리과다, 부정기 출혈, 자연유산, 불임, 변비, 빈뇨증 |
Type | 특별한 타입은 없으며 자궁의 일부, 혹은 전체에 발생할 수 있음 |
악성확률 | 0.5% 미만 |
진단 | 초음파 검사 |
치료방향 | 혹의 크기, 위치, 성질, 환자의 나이,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. |
적응증 | ① 혹이 큰 경우 (임신 16주 이상 크기) ② 지속적으로 혹이 자라는 경우 ③ 통증, 생리과다가 심한 경우 ④ 만성통증, 부정기 자궁출혈 ⑤ 2차 증상 : 불임, 습관성유산, 빈뇨, 변비 ⑥ 기타 악성가능성 의심 ⑦ 암의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과 적극적 치료를 원할 |
치료방법 | ① 자궁보존치료 (비수술치료- 하이푸시술》 ② 근종용해술 (복강경 or 질식) ③ 자궁적출술 (복강경 or 개복) ④ 보존적 미레나 삽입술 |
예방법 |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. (규칙적검진이 중요) |

하이푸 시술 후 근종 및 선근증 용해술
자궁 내막하 근종이나 선근증 같은 경우는 효과적인 하이푸 시술에도 재발하는 것이 문제입니다.
재발된 경우 자궁경하 근종, 선근증 용해술 및 자궁근종 , 선근증 절제술을 통해서
끝까지 환자의 고통으로 부터의 해방을 위해 책임져 주고 있습니다.